공민왕의 지시로 3층 전각을 세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공민왕의 지시로 3층 전각을 세 > 공지사항

공민왕의 지시로 3층 전각을 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5-05-02 20:46

본문

공민왕의 지시로 3층 전각을 세우다가 인부가 죽었다는 기록은 배경보다도 앞뒤 맥락을 봐야 한다. 공민왕이 관음전을 지은 시기는 4월이고, 3층의 상량을 올리다가 사고가 난 시기는 6월이다.임금이 말씀하시길 “사치스럽지 않다. 다만 옛 구조보다 줄이지 않을 뿐이다.”<6월 계해 관음전(觀音殿) 제3층의 상량(上梁)를 올리다가 깔려죽은 자가 26명이나 되었는데, 태후(太后)가 이 소식을 듣고 공사를 중지시킬 것을 요청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았다. - 고려사, 세가 권제42 공민왕 19년 -><여름 4월 영전(影殿)에 관음전(觀音殿)을 지었는데, 기둥이 9개에 크기가 매우 높고 넓었다. - 고려사 세가 권제42 ->중국이 3층이 훨씬 넘는 목조 건물을 왕창 지어온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중국 역시도 목탑이 아니고서야 보통 2, 3층 정도에 그치는 편이었다. 중국 건축물의 사이즈가 지금 남아 있는 것처럼 엄청난 높이로 변한 시점은 청나라 시기 벽돌 건축이 민가에 대대적으로 보급된 이후의 이야기다.개경에는 200척이 넘는 5층 목탑도 있었다.그럴싸하게 추정해 본 고려 시대 3층 전각. 창문이 이상하게 그려져서 매우 불만이지만, 그 외에는 마음에 든다. 사실 이런 유형의 건물은 조선 후기에도 만들어졌다. 조선 후기의 건물은 단층이라서 이런 구조가 눈에 띄지 않을 뿐이다. 공민왕의 그림을 살펴보면 이 그림은 과하긴커녕 오히려 모자란다고 볼 수도 있다. 공민왕의 그림에는 당파풍 건물마저 보이기 때문이다.공민왕이 그린 회화를 통해서 우리는 당대 고려의 전각, 누각 형태를 알 수 있다. 클릭해서 확대한 뒤 자세히 보시라.이극배가 또 아뢰었다. “근정전(勤政殿)을 지금 다시 칠하려고 하는데, 신은 만약 진채(眞彩, 원색으로 화려하게 칠함)로 한다면 비용이 매우 많이 들까 염려됩니다. 물론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장소라 하더라도, 반드시 그 아름다움을 지나치게 추구할 필요는 없을 듯합니다. 안쪽의 벗겨진 부분만 보수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니, 전부를 고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충렬왕 때 기록은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산중에는 낮은 건물, 평지에는 높은 건물을 지어야 맞으며, 다층 건축은 태조 때부터 우리의 문화가 아니라는 주장을 왕이 받아들였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는 아비규환 상태였던 고려의 사정을 감안해달라는 의미의 거짓말이지 다층 건물을 짓는 능력이 없다는 의미가 아니다. 우린 여러 기록을 통해 고려가 쭈욱 다층 건물을 짓고 있었음을 안다. 그럼에도 거짓말이 통한 이유는 다층 건물을 지으려던 인물이 개경의 과거를 모르는 충렬왕과 원성 공주였기 때문이다. 충렬왕과 원성 공주가 고려에 왔을 때 고려의 4경이라 할 수 있는 개경, 서경, 동경(경주), 남경(서울)이 전부 몽골에 의해 활활 불타 재건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관후서(觀候署)에서 말하기를, “『도선밀기(道詵密記)』에 따르면, 산이 적은 곳에서는 높은 누각을 만들고 산이 많은 곳에서는 평평한 가옥을 만들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산이 많으므로 만약 높은 집을 짓게 되면 반드시 〈기세가〉 쇠약해지고 손상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태조(太祖) 이래로 궁궐이라 할지라도 높게 만들지 않았으며, 민가에 이르기까지 모두 높이 건축하는 것을 금지하였습니다. 지금 조성도감(造成都監)에서 상국(上國)의 규모를 따라 여러 층의 누각과 높은 가옥을 지으려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장차 예측하지 못한 재앙이 발생하게 될까 두렵습니다.”라고 하니, 왕이 그 말을 받아들였다. 오윤부(伍允孚) 또한 공주에게 말하기를, “천변(天變)이 누차 나타나고, 설상가상으로 오랜 기간 가뭄까지 지속되고 있습니다. 청하건대 궁실 정비를 늦추시고 덕을 닦아 재앙을 누그러뜨리시기 바랍니다. 훗날 만약 후회할 일이 생긴다면, 〈신이 사실대로〉 말하지 않은 죄를 얻게 될까 두렵기 때문에 말씀드리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 고려사절요 권 19 충렬왕 3년 7월 ->또한, 같은 시기 원성 공주가 궁궐에 3층 누각을 세우려고 하자 고려의 관료들이 반대했다는 기록이 존재한다.고려 시대 양식으로 재현해 본 3층 목탑. 챗지피티에게 참조하라고 보내준 사진이 일제강점기 평양의 숭인전인데, 배흘림 기둥을 제외하면 그럭저럭 볼 만하다.송척 기준으로 200척이면 62m이므로 62m보다 더 높다는 뜻이다. 일본 교토에 있는 도지 5층 목탑이 54.8m니까 개경에 있던 5층 목탑은 도지 5층 목탑보다도 10m까지 높았다고 볼 여지가 있다. 이런 건물을 짓는 고려가 3층 전각을 세울 기술이 없다니 말도 안 되는 억지다. 스크롤을 올려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명.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주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323, A동 2907~2909호(송도동, 송도 센트로드)
사업자 등록번호. 836-87-00147 대표. 김문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이정윤
전화. 1833-6199 팩스. 032-232-5030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2-인천연수구-0553호
Copyright © 2001-2013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All Rights Reserved.

오늘 본 상품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