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 공지사항

▲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5-05-24 15:37

본문

▲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연합뉴스 6·3 대선이 이제 열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차기 정부가 현실로 다가온 기후 위기를 어떻게 풀어나갈지가 관심거리로 떠오른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기후 변화 요인인 탄소 감축에 방점을 둔 공약을 제시했고,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기후 변화로 인한 재난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전략을 내놨다.24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된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들 공약집을 살펴보면, 이재명 후보 10대 공약에는 '미래 세대를 위해 기후 위기에 적극 대응하겠다'라는 주제의 환경 공약이 담겼다.공약 이행 방법으로는 '2040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2030년온실가스감축목표달성추진과 과학적 근거에 따른 2035년 이후 감축 로드맵 수립' 등이 나열됐다.현 정부는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59기 중 28기를 2036년까지 순차적으로 폐쇄할 계획인데, 이 후보는 여기서 더 나아가 2040년까지 모두 폐쇄하겠다는 구상을 내놓은 것이다.해당 공약이 실현되면 인천 옹진군 영흥면에서 석탄발전소 6기를 운영 중인 영흥화력발전소는 2024년에 완전히 폐쇄된다. 현 정부 계획에 따르면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는 2034년에 문을 닫는다.김문수 후보는 '재난이 강한 나라, 국민을 지키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환경 공약을 짰다. 환경부를 기후환경부로 개편해 기후 재난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게 핵심이다.우선 기후환경부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부·산업통상자원부·해양수산부등관련부처에 대한 기후 재난통합 조정 기능이 부여된다. 아울러 기후 변화 적응형 인프라·도시 계획 정책을 강화하고, 기후 재난 예측·조기 경보 시스템을 고도화하겠다는 내용도 공약에 담겼다. ▲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민주노동당 권영국·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지난 2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연 일본 비축미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상이 작년의 두 배로 뛴 쌀값을 잡기 위해 소매 시장에서 정부 비축미를 시세 절반 가격에 구입할 수 있게 하겠다고 공언했다.이달 21일 취임한 고이즈미 농림상은 '쌀 담당 장관'으로 자임하며 연일 쌀값을 낮추겠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지만, 공급량에 명확한 한계가 있는 비축미 방출만으로는 장기적 성과를 거두기 힘들 것이라는 견해도 나오고 있다.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고이즈미 농림상은 24일 홋카이도 삿포로에서 열린 강연에서 현재 쌀값이 너무 비싸다고 지적하고 급등한 쌀값을 억제하기 위해 비축미를 5㎏당 2천엔(약 1만9천원)에 공급하겠다고 밝혔다.이달 초순 일본 슈퍼에서 판매된 쌀 가격이 5㎏에 평균 4천268엔(약 4만1천원)이었는데, 비축미 소매가 목표치를 현재 쌀값의 절반 정도로 정한 것이다.그는 전날 밤에도 기자들과 만나 "슈퍼에서 유통 경비 등을 포함해 2천엔에 진열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수의계약을 통해 비축미 60㎏를 1만엔(약 9만6천원) 정도에 팔면 산술적으로 5㎏ 소매가가 2천엔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고이즈미 농림상은 비축미 소매가를 낮추기 위해 운반 비용을 정부가 부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방출하는 비축미 양은 30만t으로, 올해 3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입찰 방식으로 내놓은 양과 거의 같다.그는 본래 전날 오전까지만 해도 비축미 5㎏을 슈퍼에서 2천엔대에 살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하루도 지나지 않아 목표치를 2천엔으로 훨씬 더 낮췄다.고이즈미 농림상은 비축미 소매가를 이처럼 낮출 수 있는 중요한 근거로 판매 방식 변경을 들었다.지금까지는 입찰을 실시해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한 업자에게 비축미를 판매했으나, 앞으로는 수의계약을 통해 기존의 복잡한 유통 경로를 거치지 않고 대형 소매업자 등에 직거래 형태로 팔 방침이다.이에 대해 요미우리신문은 "종래 유통 방법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한 모양새"라며 "도매업자가 개입하지 않으면 유통 단계 정체가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지난해 여름 난카이 대지진 관련 임시정보가 발령된 이후 쌀 수요가 늘면서 품귀 현상이 이어졌음에도 농림수산성 대책은 항상 늦었는데, 고이즈미 농림상이 연이은 쌀값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사명.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주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323, A동 2907~2909호(송도동, 송도 센트로드)
사업자 등록번호. 836-87-00147 대표. 김문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이정윤
전화. 1833-6199 팩스. 032-232-5030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2-인천연수구-0553호
Copyright © 2001-2013 바움피앤에스 주식회사. All Rights Reserved.

오늘 본 상품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