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럭. 게티이미지뱅크 언젠가부터 횟집에서 우럭을 찾아보기 어렵다. 모둠회에도, 매운탕에도 우럭이 도통 보이지 않는다. 최근 가격이 무서울 정도로 가파르게 뛰어올랐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럭만 그런 게 아니다. 우럭과 함께 ‘국민 횟감’으로 꼽히는 광어 가격 역시 1년 전보다 10% 넘게 상승했다.우럭·광어 가격이 치솟은 이유는 복합적이지만, 해수 온도 상승 여파로 출하량이 줄어들면서 공급 자체가 감소한 게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현재와 같이 한반도 주변 수온이 계속해서 상승할 경우 그동안 우리가 즐겨 먹던 우럭과 광어는 앞으로 더욱 비싸지거나 아예 자취를 감출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11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500~600g 우럭의 인천 활어도매시장 6월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41.8% 상승해 ㎏당 1만6125원에 거래됐다. 같은 기간 광어 도매가격은 ㎏당 1만9300원(900g~1.0㎏)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4% 올랐다. 한 상인이 지난 3일 오후 서울 동작구 노량진수산물도매시장에서 뜰채로 국내산 광어 한 마리를 건져 올리고 있다. 권현구 기자 지난 3일 서울 동작구 노량진수산물도매시장에서 만난 횟집 ‘땅끝마을’의 차덕호 사장은 “우럭과 광어를 들여오는 경매가격이 10~15% 정도 뛰었다”며 “특히 우럭값이 조금 더 올랐는데, 광어보다 오래 못 살아서 제때 팔지 못하면 손해가 크다”고 설명했다.가게 메뉴판에 적힌 ‘국내산 광우(대광어·우럭)회’ 소자 가격은 6만원, 중자 8만원, 대자 10만원, 특자 12만원이었다. 차 사장은 “가격 인상분을 반영하지 않았다. 다들 돈이 없기 때문에 올릴 수가 없다”고 말하며 쓴웃음을 지었다. 직장인 전모(36)씨는 “횟집 몇 군데를 돌아봤는데, 몇 년 전보다 광어와 우럭 모둠회 가격이 많이 오른 것 같아 놀랐다”고 말했다.일반적으로 우럭은 해상에 설치된 가두리 양식장에서, 광어는 육상양식장에서 사육한다. 한대성 어종인 우럭은 수온이 20도 이하여야 양식하기 좋고, 온대성 어종인 광어는 21~25도에서 가장 잘 자 대구 중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 쿨링포그(안개형 냉각수)가 가동 중인 가운데 한 시민이 양산을 들고 이동하고 있다. 온열질환은 빠르게 열을 내리게 하는 게 최선이다. [사진=연합뉴스]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체온이 38°C 이상, 체감온도가 31°C 이상일 때 폭염 주의 단계에 접어든다. 무더위 속에서 야외 활동을 하거나 충분한 수분 섭취 없이 일에 집중하면, 어느 순간 우리 몸은 위험 신호를 보내기 시작한다.두통, 어지럼증, 피로감은 단순한 더위가 아니라 열사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주의가 필요하다.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열로 발생하는 급성질환온열질환은 몸을 과도하게 움직이거나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돼 몸이 스스로 열을 식힐 수 없을 때 발생한다. 가장 심각한 형태인 열사병의 경우 중심 체온이 40°C를 넘어간다.항상성 열조절 체계가 무너지고 중추신경계에 이상이 생긴다. 심한 경우 다장기 부전으로 이어진다. 열사병은 절반 이상의 사망률을 보이는 초응급 질환인 만큼 빠른 인지와 초기 대응이 생명을 좌우한다.지나친 땀으로 수분이 부족해지면서 탈수 증상이 생기는 ‘열탈진’과 더위 속에서 종아리나 복부에 근육 경련이 오는 ‘열경련’이 있다. ‘열실신’은 열기로 인해 말초혈관이 확장되고 혈관 운동에 이상이 생기면서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것을 일컫는다.국내 관련 자료를 살펴보면 온열질환 발생 장소는 실외 작업장이 가장 많다. 무더운 환경에서 일하는 산업 근로자뿐 아니라 노약자, 만성질환자(심뇌혈관, 당뇨, 신장질환 등), 고강도 운동을 하는 사람도 온열질환에 취약하다.폭염 속 온열질환 예방하기폭염 특보가 발효되면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냉방이 가능한 실내에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 해가 뜨거운 한낮(오전 11~오후 4)에는 가능한 한 야외 활동을 피한다. 목이 마르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물을 마셔준다.야외 활동이 꼭 필요한 경우라면 틈틈이 시원한 곳에서 열을 식혀야 한다. 땀의 증발을 돕고 열 흡수를 줄일 수 있는 헐렁하고 밝은 옷을 착용하는 게 좋다. 어지럽거나 메스꺼움, 탈진 증세를 느끼면 가까운 사람에게 빠르게 알려야 한다. 밀폐된 차량에 어린이나 노인을 절대로 혼자 둬서는 안 된다.폭염 속 응급 상황 이렇게 대